효율적 회의문화회의 문화 개선으로 효과적 의사 결정 방법을 촉진하는 교육

교육목표

효과적 의사결정 방법과 실행을 촉진하는 방법을 통해 의견을 도출하고 토론한다.

학습필요성

단순 자료 공유와 방치 하달에 그치는 비효율적인 회의 운영에 대한 거부감이 팽배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결론이 모호하여 갈등을 야기하는 회의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이 요구 되며, 생산성 제고를 위한 퍼실리테이션 기술을 활용한 아이디어 개발과 의사결정이 필요합니다.

개발역량

알아차림, 지지, 공감, 신뢰 기반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직면한 과제 해결을 위한 개발 및 학습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집단지성과 조직 역동성을 높이는 기술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커리큘럼

module 주요 내용

M1.

효율적 회의운영

회의에 대한 구성원들의 긍정/부정 인식

조직의 회의문화 실태 : 직책별 회의참여 시간, 회의유형, 회의 생산성 등

가짜(비효율) 회의에서 보여지는 13가지 특징 및 우리조직 점검

회의운영에 대한 역량 평가 = 리더십평가 / 진짜(효율)회의를 위한 회의결행

M2.

회의를 준비하는 방법

00회사의 주간회의 효과성 분석

유형별 회의 목적 및 프로세스 : 조율, 아이디어/기획, 의사결정, 문제해결

효율적 회의를 위한 5가지 준비 : 목적, 목표, 안건, 참여자, 의사결정

결정에 대한 결정 : 메타결정

M3.

회의시작을 잘하는 방법

다양한 회사들의 회의 모습 / 부드러운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체크인 대화

리더의 회의 그라운드룰 선포 중요성 / 사전자료가 있을 때 실시하는 침묵의 정독

M4.

구성원의 의견을 이끌어내는 방법

생산적 사고를 위한 발산과 수렴 모형 / triple diamond model의 힘

브레인스토밍과 브레인라이팅 / 의견도출을 방해하는 닫힌 질문과 부정적 자세

논점에 집중하기 위한 집단기억장치 프레임과 parking lot

M5.

결론을 이끌고 실행력을 강화하는 방법

의사결정에 대한 효과성을 높이는 3가지 기준: 고객가치, 업무가치, 조직가치

결론보다 실행계획서, RACI 역할분담, 결정에 대한 동의단계 파악

회의 종료를 위한 타이머 세팅, 랩업

회의 계획 수립 실습

교육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