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의 이해와 바른 채용을 위한 관점을 습득하고 다양한 면접 기법과 활용능력을 향상시킨다.
채용 환경의 변화에 따른 면접관의 역할과 책임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인재의 선발은 회사의 존망이 걸린 중요한 문제임을 자각하고 새로운 채용 트렌드와 직무능력, 조직 적합성, 인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질문, 관찰법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또한 면접 경험 바탕이 아닌 채용에 대한 시스템을 구축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채용 제도와 절차를 학습하여 좋은 인재 선발 가능성을 올리며, 면접 운영 절차, 좋은 질문을 개발, 인사 오류 최소화, 구조화 역량 면접, 면접 평가 척도, 기준 표준화를 통해 인재 선발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 module | 주요 내용 |
|---|---|
|
M1. 채용의 이해 |
오리엔테이션 채용트렌드 및 채용제도 (NCS 블라인드 채용 & 채용절차법) 누구를 채용할 것인가? (MZ세대의 이해) |
|
M2. 면접관 역할의 중요성 |
최악의 면접관 VS 최고의 면접관 면접관의 오류 (후광효과, 낙인효과, 중심화경향, 초두효과, 공유특성의 현옥) 면접관 역할의 이해 및 중요성 |
|
M3. 채용 면접시 운영절차 |
채용면접 운영프로세스 면접전 (면접관 역할_공통Role과 리더 면접관 Role) 면접중 (시작-질문-관찰-기록-종료) 면접후 (평가 및 피드백) 면접관의 의사소통 스킬 - [실습] 우리회사 면접 opening & closing 멘트 작성하기 |
|
M4. 좋은질문과 나쁜질문 |
(핸드폰QR코드 실습) 내가 가장 많이 하는 면접질문은? 면접질문을 통해 알고자 하는 것 (3가지 적합성) 좋은질문 (폐쇄형 질문 < 개방형 질문 < 심층 질문) 나쁜질문 (다중 질문 > 가설적 질문 > 주관적 판단 질문) |
|
M5. 면접질문 작성법 |
전통면접질문과 역량면접질문 차이 (비구조화 면접 VS 구조화 면접) 구조화 역량면접의 유형 (경험 면접 VS 상황면접 중심) 경험면접 (STAR 기법 활용) 주면접질문과 심층질문 작성법 - [실습] 우리회사 인재상에 따른 핵심가치(핵심역량) 질문 만들기 |
|
M6. 면접평가방법 및 평가기준 |
인재선발의 오류와 인사오류를 줄이는 방법 면접 평가의 기준과 행동지표 (인성태도측면, 직무역량측면, 조직접합측면) 면접 평가의 척도 이해와 활용법 (리커트 척도) 면접결과 산정방식 (합산방식과 과락방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