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업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협업에 필요한 핵심요소를 학습하고 이해한다.
업무 자원의 디지털화에도 불구하고, 협업을 중요하게 여기는 조직문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구성원의 개인적 성향이 뚜렷해져 협업의 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공동의 목표에 가치를 부여하고 동료의 소중함을 아는 인성을 지닌 인재상이 요구 되고 있습니다.
사실 이해와 목표지향적 추론, 해결방안 탐색, 평가 방법을 고안할 수 있으며, 자신과 타인의 관계 인식 및 건설적 관점을 갖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상대를 설득, 납득시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 module | 주요 내용 |
|---|---|
|
M1. 협업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
협업 커뮤니케이션 및 Intro - 기억력 게임으로 알아보는 고정관념의 부작용- 협력 소통의 중요성(소통에 대한 고정관념들 알아보기) 나의 소통 스타일 진단하기 - 나의 소통스타일의 강점과 보완점 파악하기 |
|
M2. 협업에 필요한 핵심요소 |
협업하는 조직과 협업하는 인재들의 특징 - 협업하는 조직의 문화와 특징 / 협업하는 인재들의 말, 행동, 태도퍼즐로 알아보는 고성과를 위한 협업 원칙 - 공동의 목표 확인_취약성 고리 만들기_업무의 절차와 역할의 확인 |
|
M3. 협업을 위한 소통의 태도와 기술 |
공동의 의사결정 게임을 통한 협력 소통 - 경청의 태도 / 다양성에 대한 인정 / 논리적 사고와 말하기- 칭찬과 비판의 효과적인 사용, 부정성 편향, 긍정 소통의 활용 협업을 위한 관계의 조건 - Give and Take(왜 협업이 지속되지 않는가?)- 성공적인 기버의 3가지 습관 |
|
M4. 실행을 위한 Action Plan |
우리 조직의 협업을 위한 Do & Don’t 만들기 - 실행 의지를 다지는 공동그림(or 공동구조물) 만들기 / 결과물 발표 & 공유 |